Python의 data type은 종류가 아래와 같이 총 4가지가 있다.

순서 있는 데이터 타입

변경 가능(mutable) 데이터 타입

인덱싱(indexing), 슬라이싱(slicing)

리스트, 튜플, 문자열, 바이트

리스트, 딕셔너리, 세트

순서 없는 데이터 타입

변경 불가능(immutable) 데이터 타입

인덱싱(indexing) X, 슬라이싱(slicing) X

세트, 딕셔너리

튜플, 문자열, 바이트

리스트(List): 순서가 있고 변경 가능하다. 즉, 기존 데이터의 수정 및 삭제가 가능하다.

튜플(Tuple): 순서가 있고 변경 불가능하다. 즉, 기존 데이터의 수정 및 삭제가 불가능하다.

딕셔너리(Dictionary): 순서가 없고 변경 가능하다.

세트(Set): 순서가 없고 변경 가능하다.


[리스트 타입]

* 오브젝트의 리스트를 저장

* [] 또는 python 내장함수인 list() 를 이용

* 순서 있는 데이터 타입

* 변경 가능한(mutable) 데이터 타입


[리스트 객체의 멤버함수 종류]

- list.append(obj)

Appends object obj to list(obj 맨 끝의 요소에 데이터를 추가한다.)

- list.count(obj)

Returns count of how many times obj occurs in list(obj의 특정 객체의 개수를 구한다.)

- list.extend(seq)

Appends the contents of seq to list(또 다른 list type을 추가해준다.)

- list.index(obj)

Returns the lowest index in list that obj appears(obj의 index를 구한다.)

- list.insert(index, obj)

inserts object obj into list at offset index(obj의 index에 데이터를 추가해준다.)

 

[사용 예시]

1
2
3
myList = [103.14, True, "abc"#list()
print(myList)
print(type(myList))
cs

[10, 3.14, True, 'abc']

<class 'list'>

위의 예제를 통해 리스트 객체가 생성되었고 객체의 타입이 리스트임을 확인할 수 있다. 그리고 리스트는 순서 있는 데이터 타입이기 때문에 인덱싱 및 슬라이싱을 사용할 수 있다.

1
2
3
4
5
6
7
8
9
myList = [103.14, True, "abc"#list()
 
print(myList)
print(type(myList))
print(myList[0])
print(myList[3])
print(myList[-1])
print(myList[0:3:1])
print(myList[1:3:2])
cs

[10, 3.14, True, 'abc']

<class 'list'>

10

abc

abc

[10, 3.14, True]

[3.14] 

위의 예제는 인덱싱 및 슬라이싱을 사용한 출력 결과다. 리스트의 인덱스 3과 -1은 같은 “abc”를 가리킨다. 또한 슬라이싱을 사용하여 리스트의 일부분만 출력 가능하다. 

1
2
3
4
myList = [10203040]
 
myList.append(50)
print(myList)
cs

[10, 20, 30, 40, 50] 

리스트 객체 멤버 함수 중 append를 사용한 결과이다. obj 끝 요소에 50이 추가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런 결과들이 가능한 이유는 리스트가 변경 가능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중간 요소 수정도 아래처럼 가능하다.

1
2
3
4
5
myList = [10203040]
myList[0= 100
 
myList.append(50)
print(myList)
cs

 [100, 20, 30, 40, 50]

0번째 index를 100으로 수정한 결과이다.

 


[Python 설치]

1. Python을 설치하기 위해서는 아래 주소로 접속한다.

https://www.python.org/

2. Downloads에서 Windows 클릭

3. Stable releases에서 가장 최신 version 클릭

4. 64-bit에 맞는 Windows x86-64 executable installer 다운로드

5. python-3.8.2-amd64.exe 실행 후 반드시 'Add python 3.8 to PATH' 체크 후 Install Now 클릭

6. Shell을 실행하여 설치 완료 확인

* cmd.exe를 실행하여 python 입력 후, 아래 그림과 같이 확인한다.

* 에디터 툴인 IDLE (Python 3.8 64-bit)을 실행하여 출력 결과를 확인한다.

(1) File -> New file 클릭 후 생성된 파일에 sample code를 기입한다.

(2) Run Module(F5)를 실행하여 결과를 확인한다.

* 텍스트 파일에서 출력 결과를 확인한다.

(1) 메모장에 sample code를 기입한 후 a.py로 저장한다.

(2) 저장한 경로에 가서 a.py를 실행시킨 후 결과를 확인한다.


[텍스트 편집기] - Coding tool

앞서 메모장과 IDLE, 그리고 cmd를 사용하여 sample code를 실행시키고 결과를 확인해봤다. 하지만 모두 자동완성 기능이 없기 때문에 효율적인 프로그래밍을 하기엔 불편함이 분명 존재한다.

이러한 불편함을 해결하기 위해 Python 작업에 필요한 텍스트 편집기를 아래와 같이 소개한다.

1. Pycharm(파이참): 자동 완성기능이 매우 탁월하다.

2. Eclipse(이클립스): pydev라는 plug-in을 설치해야 한다.

3. Atom(아톰): light하고 좋은 tool

4. Jupyter Notebook(주피터 노트북): 웹브라우저 상에서 개발 및 공유 가능

5. Visual studio(비쥬얼 스튜디오): 설치에 시간이 오래 걸리며 사실상 Windows 개발 툴


이 중에서, Pycharm에 대한 설치 방법을 공유한다.

1. Google에서 pycharm community를 검색한다.

* Professional은 30일 사용 후 유료이다.

https://www.jetbrains.com/pycharm/download/#section=windows

2. Community 버전을 다운로드 및 설치한다.

3. 'PyCharm Community Edition 2019.3.3' 실행 후 기본 환경 설정

4. New project 생성

5. python sample code를 테스트 할 file 생성

6. 결과 확인

여기까지 모두 성공하였으면 Python 학습에 대한 기본 환경 준비는 끝났다.


[Python 역사 및 Python 언어특징]

네덜란드의 개발자 Guido Van Rossum 1980년 후반에 만들었다.

Python이라는 이름은 개발자 Rossum이 영국 코미디 드라마 Monty Python’s Flying Circus를 좋아하여 드라마 이름 중 하나의 단어 Python만 따서 만들었다.

Python의 역사는 아래와 같이 생각보다 오래되었다.

Version

Date

1.0

1994/01

1.5

1997/12

1.6

2000/09

2.0

2000/10

2.1

2001/04

2.2

2001/12

2.3

2003/07

2.4

2004/11

2.5

2006/09

2.6

2008/10

2.7

2010/07

2.7.11

2015/12

3.0

2008/12

3.1

2009/07

3.2

2011/02

3.3

2012/09

3.4

2014/03

3.4.1

2014/05

3.5.0

2015/09

3.5.1

2015/12

3.6.4

2017

Python 2.6 Python 3.0은 비슷한 시기에 나왔는데 문법적인 변화가 많이 발생하였다.

Python의 특징은 굉장히 많은 third-party library를 가진 것이다. 개수로는 수십만개의 라이브러리를 보유하고 있으며 어떤 언어도 따라올수 없다.

그러나 위의 표를 보면 2.x 3.x version이 병렬적으로 계속 출시되었다. 그 이유는 위와 같이 library가 많은 python이기 때문에 2.x에서 3.x로 문법 적인 변화가 발생하여 library가 아직 완전히 conversion되지 못하였기 때문이다

3.x version이 나왔지만 2.x version user가 상당히 있다 보니 위와 같이 출시가 되었다. 그리고 library가 계속 conversion이 수행되며 3.x version user가 많아지고 있는 추세이다.


[Python의 핵심적인 특징 이해]

* 객체 지향 언어

구조적 프로그래밍 방법론(함수 기반) + 객체 지향을 모두 지원한다. 

즉, 순수 객체 지향이라기에는 함수까지 지원하는 특징이 있다.

* 대화기능의 인터프리터(interpreter) 언어

라인(line) 단위로 컴파일(compile)되며 실행된다.

* 동적인 데이터 타입 결정 지원

C언어에서 사용되는 변수 선언의 형식(e.g. int a = 10)처럼 data type이 없어도 Python은 라인 단위로 처리 되기 때문에 데이터 값에 의해서 type이 결정된다. (e.g. a = 10)

* 플랫폼에 독립적

운영체제에 종속되지 않아 플랫폼에 독립적이다.

운영체제에 종속되는 구조는 App.을 통해 장치를 제어하기 위해서 OS에서 제공하는 API를 사용해야 한다. 이 구조의 단점은 App.이 운영체제에 종속된다는 점이다. 따라서 운영체제가 바뀌면 App.이 동작하지 않는다.

플랫폼에 독립적인 구조중 대표적인 Java 기준으로는 Oracle 회사에서 각 운영체제 별 가상 머신(Virtual Machine, VM)을 만들게 된다. 따라서 개발자들은 OS와의 호환성을 신경쓰지 않아도 된다. MS 기준으로는 .NET Framework가 존재한다.

이와 같은 구조에서는 VM에서 제공하는 API를 통해 프로그램을 짜게 된다. 따라서 중간 코드가 만들어지고 interpreter에 의해 실행된다. 단점으로는 중간 코드가 만들어지므로 속도 면에서는 바로 기계 코드가 만들어지는 모델보다 느리다. 반면에 장점은 App.이 운영체제에 종속되지 않으므로 운영체제와 상관없이 VM이 있다면 동작 가능하다.

즉, Python의 interpreter가 VM에 올라간다고 생각하면 된다.

* 개발기간 단축에 초점을 둔 언어

Python은 문법이 간략하고 축약적이다. 따라서 개발 기간 단축이 가능하다.

* 간단하고 쉬운 문법

문법을 다루기가 굉장히 쉽고 간단하다.

* 고 수준의 내장 객체 데이터 형 제공

다른 언어에서는 라이브러리 형태로 제공해준다. 

내장 객체 데이터의 대표적인 예시는 자료구조이다.(e.g. Linked List, Tree 등) 

C언어에서는 직접 다 구현해야하고 C++에서는 STL(Standard Template Library), Java에서는 (collection)이라는 라이브러리를 제공해준다. 

하지만 그에 반해 Python에서는 데이터 타입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것은 상당한 장점이다.

* 메모리 자동 관리(RC)

Reference Count(참조 계수) 기법에 의해 메모리를 자동으로 관리해준다. 

어떤 특정 객체가 만들어졌을 때 참조 변수가 가리키게(pointing) 된다. 그러면 참조 계수는 1로 되고, 특정 다른 참조 변수가 해당 객체를 중복 참조하게 되면 계수는 2로 된다. 그리고 둘 다 소멸하면 계수가 0가 되어 자동으로 소멸되는 방식으로 메모리가 관리된다.

* 무료


[Python 언어의 활용 범위]

* 시스템 관리 (스크립팅)

시스템 자동화에 활용, 문자열 parsing

* GUI

파이큐티(PyQT): 파이썬으로 윈도우 프로그래밍 가능

* 인터넷 프로그래밍

장고(Django), 플라스크(Flask): 웹 프로그래밍 가능

* DB 프로그래밍

관계형 DB: Oracle, my SQL

비관계형 DB: 카산드라(Cassandra)

* 각종 텍스트 프로세싱

정규식 라이브러리

* 분산처리

수치 연산, 그래픽스, RTOS(Real Time Operating System) 등

* 파이썬은 안 쓰이는 곳을 찾기 힘들 정도로 대중적이지만 그래도 가장 약한 부분은 Android와 같은 Mobile 쪽이다.

 

[Python의 특장점]

* 개발 시간을 단축 시켜준다.

* 배우기 쉬울 뿐 아니라 사용하기도 쉽다.

* 코드를 이해하기 쉽다. (C언어의 1/3)

* 코드가 짧아진다.

* 팀 프로젝트에 좋다.

* 확장성이 뛰어나다(C, Java)


Select sort는 개념이 무척 간단하다.


오름차순의 경우 각 step마다 가장 큰 값을 찾아 제일 끝 요소와 자리를 바꾼다.

내림차순의 경우 각 step마다 가장 큰 값을 찾아 제일 첫 요소와 자리를 바꾸면 된다.


그림으로 설명하자면 아래와 같다.


STEP 1) 모든 요소를 검사하여 가장 큰 값을 array[max-1]에 저장한다.

STEP 2) max-1 요소 전까지 검사하여 가장 큰 값을 array[max-2]에 저장한다.

STEP 3) max-2 요소 전까지 검사하여 가장 큰 값을 array[max-3]에 저장한다.


선택 정렬의 경우 시간 복잡도는 O(n^2)이며, 알고리즘이 매우 단순하다.

또한 메모리 이동이 적을 수 있어서 메모리가 제한적인 환경에서 사용하면 성능 상 유리하다.


코드는 아래와 같이 구현 가능하다.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32
33
34
35
36
37
38
39
40
41
42
43
44
45
46
47
48
49
50
51
52
53
54
55
56
57
58
59
60
61
#include <stdio.h>
 
#define MAX_NUM (10)
#define SORT_UP (1)
#define SORT_DOWN (-1)
 
typedef struct _score
{
    int id;
    char name[10];
}SCORE;
 
void print_data(SCORE *d);
void sort_select(SCORE *d, int order);
 
int main(void)
{
    SCORE list[MAX_NUM] = { { 2"kim" },{ 5"lee" },{ 1"park" },{ 7"kang" },{ 4"jung" },
    { 10"su" },{ 9"won" },{ 6"ring" },{ 3"son" },{ 8"feng" } };
 
    printf("UP sort\n");
    sort_select(list, SORT_UP);
    print_data(list);
 
    printf("\nDOWN sort\n");
    sort_select(list, SORT_DOWN);
    print_data(list);
 
    return 0;
}
 
void sort_select(SCORE *d, int order)
{
    int i, j, k;
    SCORE temp;
 
    for (i = 0; i < MAX_NUM - 1; i++) {
        for (k = 0, j = 1; j < MAX_NUM - i; j++) {
            if ((d[k].id - d[j].id) * order < 0) {
                k = j;
            }
        }
        j--;
 
        if (j != k) {
            temp = d[j];
            d[j] = d[k];
            d[k] = temp;
        }
    }
}
 
void print_data(SCORE *d)
{
    int i = 0;
 
    for (i = 0; i < MAX_NUM; i++) {
        printf("ID(%d) NAME(%s)\n", d[i].id, d[i].name);
    }
}
 
cs


이전에 포스팅하였던 bubble sort에서 함수 안에 내용만 위에 설명한대로 수정하였다.

오름차순 및 내림차순에 대한 코드를 작성하였으며, id 기준으로 정렬을 수행한다.


코드 실행 결과는 아래와 같다.


역시 오름차순과 내림차순 모두 잘 정렬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위보다 더 효율적인 코드도 구현 가능하지만 기본이 되는 코드이기 때문에 참고하면 좋을 것 같다.

두 인접한 자료를 비교하여 앞의 데이터가 뒤의 데이터보다 크면 위치를 교환한다.


시간 복잡도는 O(n^2)로 상당히 느리지만, 코드가 단순하여 많이 사용된다.

Bubble sort는 알고리즘 시험을 처음 준비할 때 오름차순 및 내림차순으로 정렬해야 할 문제들을 대비하기 위해 공부하였었는데, 결국 느린 시간복잡도로 인해 다른 정렬 방법으로 바꾼 기억이 난다.


그림으로 설명하자면 아래와 같다.


STEP 1) 첫 요소부터 검사를 진행한다. 인접한 요소와 비교하면서 앞의 요소가 뒤의 요소보다 크면 위치를 교환한다.

STEP 2) 진행

STEP 3) 진행

STEP 4) STEP 1과 같이 앞의 요소가 더 크기 때문에 위치를 교환한다.

STEP 5) 1차 검사 완료


위의 STEP을 반복하며 진행되는데, 1차 검사가 array[max-1]까지 검사하였다면 2차 검사는 array[max-2]까지만 검사를 진행하면 된다.


코드는 아래와 같이 구현 가능하다.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32
33
34
35
36
37
38
39
40
41
42
43
44
45
46
47
48
49
50
51
52
53
54
55
#include <stdio.h>
 
#define MAX_NUM (10)
#define SORT_UP (1)
#define SORT_DOWN (-1)
 
typedef struct _score
{
    int id;
    char name[10];
}SCORE;
 
void print_data(SCORE *d);
void sort_bubble(SCORE *d, int order);
 
int main(void)
{
    SCORE list[MAX_NUM] = { {2"kim"}, {5"lee"}, {1"park"}, {7"kang"}, {4"jung"},
                           {10"su"}, {9"won"}, {6"ring"}, {3"son"}, {8"feng"} };
 
    printf("UP sort\n");
    sort_bubble(list, SORT_UP);
    print_data(list);
 
    printf("\nDOWN sort\n");
    sort_bubble(list, SORT_DOWN);
    print_data(list);
 
    return 0;
}
 
void sort_bubble(SCORE *d, int order)
{
    int i, j;
    SCORE temp;
 
    for (i = 0; i < MAX_NUM - 1; i++) {
        for (j = 0; j < MAX_NUM - 1 - i; j++) {
            if ((d[j].id - d[j + 1].id) * order > 0) {
                temp = d[j];
                d[j] = d[j + 1];
                d[j + 1= temp;
            }
        }
    }
}
 
void print_data(SCORE *d)
{
    int i = 0;
 
    for (i = 0; i < MAX_NUM; i++) {
        printf("ID(%d) NAME(%s)\n", d[i].id, d[i].name);
    }
}
cs



코드는 10개의 자료로 구성된 배열을 각각 오름차순 및 내림차순으로 정렬한 내용이다.

매크로로 Define된 값에 따라 오름차순과 내림차순을 설정할 수 있으며 기준은 id로 하였다.


코드 실행 결과는 다음과 같다.

오름차순과 내림차순 모두 id 순서대로 정렬이 잘 수행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뒤의 name을 기준으로도 정렬 가능하며 strcmp 함수를 이용하여 비교하고 정렬하면 된다.

이번에 티스토리를 새롭게 시작하면서 S/W 개발을 위해 공부하였던 자료들을 업로드하려고 한다. 그런데 S/W는 소스코드가 짧은 파일도 최소 100 line은 우숩게 차지하기 때문에 캡처 도구를 이용한 사진 첨부는 한계가 있었다;; ㅡㅁ ㅡ


그리고 구글링을 해보니 역시 많은 사람들이 소스코드 넣는 방법을 포스팅하였고 나 역시 하나씩 따라해보며 올려보려고 한다.


소스코드를 넣는 방법은 총 2가지가 있다.


1. Color Scripter

2. Syntax Highlighter


1. Color Scripter

사용방법이 아주 간단하다. https://colorscripter.com/ 에 접속하여 소스 코드를 복사 및 붙여넣기를 한 후 바로 다시 블로그로 가져오면 된다.

S/W 개발을 할 때 가장 국민룰(?)인 Hello World를 출력하는 코드를 넣어봤다. 위의 그림에서 보듯이, 언어, 스타일패키지, 배경 등이 있는데 개인적으로 Simple is the best기 때문에 스타일패키지의 옵션을 서브라임 블랙으로 설정하는 것이 좋았다.


스타일 패키지가 기본일 때와 비교하면 하이라이팅이 눈에 잘 들어와서 훨씬 가독성이 증가한 것을 알 수 있다. 실제로 위의 코드를 블로그에 붙여넣기를 하면 아래와 같이 된다.

이때, 오른쪽 아래의 클립보드에 복사를 클릭하여 넣어주자.


1
2
3
4
5
6
7
8
#include <stdio.h>
 
int main(void)
{
    printf("Hello World\n");
 
    return 0;
}
cs


코드 라인과 소스코드들이 만족스럽게 복사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Color Scripter는 C언어 뿐만 아니라 JAVA, C#, C++, Python 등 사람들이 주로 사용하는 언어들에 대해 소스코드들을 가독성 있게 하이라이팅 해주고 블로그에 올릴 수 있게 해준다.

무엇보다 최대 장점은 사용하기 편하다는 것~!


2. Syntax Highlighter

사실 이 내용까지 쓸까 말까 고민하다가.... (귀찮아서) 그래도 이왕 하는 김에 넣어봤다. 오픈소스 라이센스이기 때문에 http://alexgorbatchev.com/SyntaxHighlighter/ 여기로 접속~

그리고 다음 순서대로 진행하면 된다.


(1) 아래 파일을 다운로드 받는다. (+ 압축 해제)


syntaxhighlighter_3.0.83.zip


(2) 블로그관리 -> HTML/CSS 편집 -> 파일 업로드 탭에서 빨간 박스의 파일들을 추가 후 적용 버튼을 누른다.



(3) HTML 편집 창에서 head 아래에 다음 내용을 붙여넣기 하고 적용을 누른다.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Enable Syntax Highlighter-->
<script type="text/javascript" src="./images/shCore.js"></script>
<script type="text/javascript" src="./images/shAutoloader.js"></script>
<script type="text/javascript" src="./images/shBrushAppleScript.js"></script>
<script type="text/javascript" src="./images/shBrushAS3.js"></script>
<script type="text/javascript" src="./images/shBrushBash.js"></script>
<script type="text/javascript" src="./images/shBrushColdFusion.js"></script>
<script type="text/javascript" src="./images/shBrushCpp.js"></script>
<script type="text/javascript" src="./images/shBrushCSharp.js"></script>
<script type="text/javascript" src="./images/shBrushCss.js"></script>
<script type="text/javascript" src="./images/shBrushDelphi.js"></script>
<script type="text/javascript" src="./images/shBrushDiff.js"></script>
<script type="text/javascript" src="./images/shBrushErlang.js"></script>
<script type="text/javascript" src="./images/shBrushGroovy.js"></script>
<script type="text/javascript" src="./images/shBrushJava.js"></script>
<script type="text/javascript" src="./images/shBrushJavaFX.js"></script>
<script type="text/javascript" src="./images/shBrushJScript.js"></script>
<script type="text/javascript" src="./images/shBrushPerl.js"></script>
<script type="text/javascript" src="./images/shBrushPhp.js"></script>
<script type="text/javascript" src="./images/shBrushPlain.js"></script>
<script type="text/javascript" src="./images/shBrushPowerShell.js"></script>
<script type="text/javascript" src="./images/shBrushPython.js"></script>
<script type="text/javascript" src="./images/shBrushRuby.js"></script>
<script type="text/javascript" src="./images/shBrushSass.js"></script>
<script type="text/javascript" src="./images/shBrushScala.js"></script>
<script type="text/javascript" src="./images/shBrushSql.js"></script>
<script type="text/javascript" src="./images/shBrushVb.js"></script>
<script type="text/javascript" src="./images/shBrushXml.js"></script>
<script type="text/javascript" src="./images/shLegacy.js"></script>
<link type="text/css" rel="stylesheet" href="./images/shCoreDefault.css">
<script type="text/javascript"> SyntaxHighlighter.all(); </script>
cs


(4) 적용 결과

int main(void)


C에서 사용하는 상수의 종류는 아래와 같다.




상수는 정수형과 실수형으로 나누어지며

정수형은 signed/unsigned로 사용 가능한 반면, 실수형은 항상 signed로 사용한다.


int 상수의 크기는 CPU 의존적이기 때문에 컴파일러 마다 다르다.

보통 CPU 연산 수행을 위한 레지스터 크기로 결정하며 2Byte 또는 4Byte가 된다.


그리고 suffix를 통해 데이터 타입을 구분하게 되는데 정수의 경우 suffix가 없을 경우 무조건 signed int가 된다.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include <stdio.h>
 
int main(void)
{
    printf("char: %d\n"sizeof(char));
    printf("short: %d\n"sizeof(short));
    printf("int: %d\n"sizeof(int));
    printf("long: %d\n"sizeof(long));
    printf("long long: %d\n"sizeof(long long));
    printf("float: %d\n"sizeof(float));
    printf("double: %d\n"sizeof(double));
    printf("long double: %d\n"sizeof(long double));
 
    return 0;
}
cs



Visual studio에서 sizeof 함수를 사용하여 출력한 결과이다.

sizeof 함수는 자료형의 크기를 구하는 함수이며 unsigned를 붙여도 크기는 같다.



C 표준의 정수형 상수 범위는 아래와 같다.


Type 

Byte 

 min

max 

char

1

127 

signed char

1

-127 

127 

unsigned char

1

255 

signed short

2

-32,767 

32,767 

unsigned short

2

65,535 

signed int

2 or 4

-2,147,483,647 

2,147,483,647 

unsigned int

2 or 4

4,294,967,295 

signed long

4

-2,147,483,647 

2,147,483,647 

unsigned long

4

4,294,967,295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