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느 날 갑자기 찾아온 카톡 문자 알림! 그런데 기대도 안 했던 WEBL ETF의 배당입금이 무려 200 USD가 넘었다...? 이건 도저히 참을 수 없지! 그래서 WEBL 3배 레버리지 ETF에 대해서 포스팅 들어간다!
1. 개요
WEBL은 티커명이고, Direxion Daily Dow Jones Internet Bull 3X Shares가 풀네임이다. 수수료 및 비용을 제외한 'Dow Jones Internet Composite Index'(다우존스 인터넷 종합 지수)의 일간 실적의 300%(3배)를 추종하는 ETF이다. 쉽게 말해서 해당 산업의 3배 추종 레버리지 ETF라고 생각하면 된다.
2019년 11월에 상장 되었으며, 거래량은 170K 정도로 굉장히 높지는 않은 수준. 그래서 LOC 매수를 잘못 하다간 종가에 조금 높게 살 수 있는 ETF다. 그리고 3배 레버리지 특성 상 변동성이 굉장히 심한 것은 구조적으로 당연한 이치.
2. 포트폴리오 및 섹터 비중
전체 보유 종목은 47종목이고, TOP10 비중이 65.79%를 차지하고 있다. 대부분 파생상품과 수익증권에 투자하고 있으며, 개별주도 포함하고 있는데 특이한 점으로는 서학개미들이 가장 사랑하는 종목 중 하나인 아마존(AMZN)의 비중이 무려 8.45% 이다. 아마존은 주당 가격이 굉장히 비싸기 때문에, 변동성이 그리 심하지 않아서 안정적이며 미래 성장성도 기대가 되는 종목이다. 이런 종목이 포함되어 있는 이유는 역시 다우존스 인터넷 종합 지수를 추종하기 때문!
섹터 비중은 소비 순환재 17.05%, 금융 서비스업 5.49%, 헬스케어 4.00%, 통신 서비스업 34.31%, 기술 분야 39.15%로 나름 골고루? 분산하여 투자하고 있다. 따라서 아마존 뿐만 아니라, 페이스북(FB), 구글(GOOGL), 시스코(CSCO), 넷플릭스(NFLX) 등 우리가 많이 알고 매력적으로 느끼는 다양한 우량 종목들이 포함되어 있다.
3. 수익률 분석
WEBL ETF가 상장된 이후 기간별 수익률을 보면 2020년에는 시장 수익률을 뛰어 넘는 엄청난 성과를 확인할 수 있지만, 2021년에는 오히려 부진한 수익률을 기록하였다. 그리고 올해 초에 WEBL ETF에 투자하여 '존버'를 한 투자자들은 하반기까지 큰 재미를 보다가 지금 시점에선 상승분을 모두 반납하고 우울한 하루를 보낼만한 차트를 보여준다. 이런게 바로 3배 레버리지의 변동성인데, 상승에는 알파만큼 제곱하여 큰 수익률을 먹지만 하락에는 그대로 다시 반납하게 된다.
그리고 기간 누적 등락률을 보면, 1년 동안은 -7.55%지만 최근 3개월은 -29.84%, 6개월은 -22.34%이다. 이 결과가 의미하는 것은 지하실이 보인다! 해서 막 들어가다가 끝도 없는 지하실을 확인할 수도 있다 ㅎㅎ 이러한 변동성은 멘탈이 어느 정도 단련된 투자자들이 아니면 들어오기 참 어렵다고 생각한다.
4. 배당
사실 이 배당 항목 때문에 블로그에 포스팅을 하게 되었는데, 위의 배당 내역에서 확인할 수 있듯이 2019년 상장 이후에 배당금은 주 당 0.0176이었다. 그리고 2020년에는 엄청난 수익률을 기록했음에도 배당이 없었기 때문에 3배 레버리지 ETF에는 역시나 배당은 기대하지 말아야지... 라는 생각을 하게 만들었다. (과거형)
그런데 2021년에는 아무도 예상치 못한 배당금 3.0512 USD. 엄청난 배당 성장률(?)을 보임으로써 WEBL ETF에 물려버린 수 많은 서학 개미들에게 조금 더 버틸만한 에너지를 공급해줬다 ㅎㅎ 이런 예상치 못한 수익이 바로 주식의 또 다른 재미가 아닐까...!
5. 결론
WEBL ETF는 역시나 내가 투자하고 있는 3배 레버리지 ETF다. 거래량이 낮다는 점은 단점이지만, 엄청난 변동성 때문에 스윙 투자하기 좋은 종목이고 보유하고 있는 종목도 든든한 우량 종목들의 개별 비중이 높기 때문에 상폐당할(?) 위험성은 조금 덜하다고 생각한다. 하지만 장기 투자하기엔 아직 몇 년 되지 않은 신생 ETF기 때문에 검증되지 않았으므로 비추천. 아직까지 내 실력으로는 스윙을 위해 투자하면 좋을 것 같다. 점점 바닥으로 내려오고 있으니 개인적으로는 계속 담고 있다 ㅎㅎ
* 만약 스윙 투자의 경험이 없거나 본인만의 매수/매도 원칙이 갖춰진 투자 시스템이 없는 사람들은 변동성이 큰 주식에 투자하면 큰 손실이 발생하고, 영원히 시장에서 아웃될 수 있으니 항상 주의해야 한다.
'Study' 카테고리의 다른 글
[투자] 개인연금 맞춤형 안정형 자산배분 포트폴리오 (0) | 2022.01.25 |
---|---|
[코인] 메타버스 플랫폼 더마르스 MRST 채굴 앱 (화성 정착금 마련) (0) | 2021.12.18 |
[ETF] 3배 레버리지 LABU 분석 및 총정리 (1) | 2021.12.05 |
[GitHub] 왕초보도 따라하는 GitHub 시작하기 - (아이디 생성) (0) | 2021.12.04 |
[Study] 티스토리(tistory) 소스코드 넣는 방법 (0) | 2020.02.03 |